# 테이블 병합(JOIN) 데이터 베이스 내의 여러 테이블에서 가져온 레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테이블이나 결과 집합으로 표현합니다. SELECT 컬럼명1, 컬럼명2 ... FROM 테이블명1 (INNER, LEFT, RIGHT) JOIN 테이블명2 ON 테이블명1.필드명 = 테이블명2.필드명 ● INNER : 교집합 LEFT : 테이블1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병합 RIGHT : 테이블2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병합 예) INSERT INTO tb_order VALUES('0000000001', 1000, '양말', now(), 8); INSERT INTO tb_order VALUES('0000000002', 2000, '손수건', NOW(), 2); INSERT INTO tb_order VALUES('0000..
● 데이터 삽입(INSERT) 1.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 ('값1', '값2', '값3'...) -VALUES 뒤에 있는 필드와 실제 테이블의 필드 개수가 일치해야합니다. AUTO_INCREMENT(자동증감형태) 로 예시에는 적용할 수 없다. 2. INSERT INTO 테이블명 (필드명1, 필드명2, 필드명3 ...) VALUES ('값1', '값2', '값3'...) -테이블명 뒤에 있는 필드 개수와 순서를 VALUES 뒤에 있는 값과 일치시켜야 합니다. -NOT NULL로 설정되어있는 필드는 반드시 INSERT 해야합니다. -필드명은 변경원하는 것을 넣을수 있으며 값과 동일한 순서대로 넣으면 된다. 예) INSERT INTO tb_member(mem_userid, mem_pass..
● 산술 연산자 + 더함 - 뺌 * 곱함 / 나눔 DIV 왼쪽 연산자를 오른쪽 연산자로 나눈후, 소수부분을 버림 MOD 또는 % 왼쪽 연산자를 오른쪽 연산자로 나눈후, 그 나머지를 반환함 ● 대입 연산자 = 왼쪽 연산자에 오늘쪽 연산자를 대입 := 왼쪽 연산자에 오른쪽 연산자를 대입 * MySQL에서 '=' 연산자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된다. SET 문이나 UPDATE 문의 SET 절에서 사용되면, 왼쪽 연산자에 오른쪽 연산자를 대입하는 대입 연산자 OR 그 외의 절에서 사용되면, 비교연산자 이다. * 첫 번째 대입 연산자(=)와 달리 두 번째 대입 연산자(:=)는 절대로 비교 연산자로 해석되지 않습니다. ● 비교 연산자 = 왼쪽 연산자와 오른쪽 연산자가 같으면 참을 반환 , != 왼쪽 연산자와 오른쪽 ..
# 테이블(Table) 데이터를 행과 열로 스키마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말합니다. * 행(↓) : 로우 or 레코드 or 튜플 * 열(→) : 필드 or 컬럼 or 어트리뷰트 *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명세를 기술한 집합을 말합니다. ● 테이블 만들기 CREATE TABLE 테이블명 ( 필드명1 필드타입 제약조건, 필드명2 필드타입 제약조건, 필드명3 필드타입 제약조건, ... ) CREATE TABLE tb_member( mem_idx BIG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 mem_userid VARCHAR(20) UNIQUE NOT NULL, mem_pass VARCHAR(200) NOT NULL, mem_name VARCHAR(10..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한 종류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테이블(table)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테이블은 키(key)와 값(value)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 특징 1. 데이터의 분류, 정렬, 탐색 속도가 빠릅니다. 2. 오랫동안 사용된 만큼 신뢰성이 높고, 어떤 상황에서도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해 줍니다. 3. 기존에 작성된 스키마를 수정하기가 어렵습니다. 4.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분석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 용어 1. 행(↓) : 로우 or 레코드 or 튜플 행은 관계된 데이터의 묶음을 의미합니다. 2. 열(→) : 필드 or 컬럼 or 어트리뷰트 각각의 열은 유일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만의 타입을 가지고 있습니다. 3. 값(value) ..
# 이벤트(Event)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Events 이벤트란 웹 브라우저가 알려주는 HTML 요소에 대한 사건의 발생을 의미합니다. 웹 페이지에 사용된 자바스크립트는 발생한 이벤트에 반응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를 비동기식 이벤트 중심의 프로그래밍 모델이라고 합니다. ● 이벤트 타입(Event Type) 이벤트 타입은 발생할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열로 이벤트명이라고도 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키보드, 마우스, HTML DOM, window 객체등 처리하는 이벤트가 폭넓게 제공되고 있습니다. 예시) 이벤트 타입 문자열을 클릭하세요. * 이벤트 타켓(Event Target) 이벤트가 일어날 객체를 의미..
# 폼(Form) 객체 일반적으로 폼에 접근할 때 사용합니다. id 또는 name을 이용하여 접근합니다. 또한 document.forms 컬렉션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디 : 비밀번호 : 1. 폼에 접근 const frm = document.myform; // name으로 접근 const frm = document.getElementById("regform"); // 아이디로 접근 2. 아이디 value에 접근 const id = document.myform.userid.value; const id = frm.userid.value; const id = frm.elements[0].value; const id = frm.elements['userid'].value; const id = do..
# 노드(node) HTML DOM은 노드라고 불리는 계층적 단위에 정보를 저장합니다. HTML DOM은 노드들을 정의하고, 그 사이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HTML 문서의 정보는 노드 트리라고 불리는 계층적 구조에 저장됩니다. 노드 트리는 노드들의 집합이며 노드 간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노드 트리는 최상위 레벨인 루트 노드로부터 시작하여, 가장 낮은 레벨인 텍스트 노드까지 내려갑니다. HTML DOM을 이용하여 노드 트리에 포함된 모든 노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노드 종류 1. 문서 노드(document node) : 문서 전체를 나타내는 노드 2. 요소 노드(element node) : HTML 요소는 요소 노드이며, 속성 노드를 가질 수 있는 유일한 노드입니다. 3. 속성 노드(a..
# 문서 객체 모델(Document Object Model) XML이나 HTML문서에 접근하기 위한 일종의 인터페이스입니다. 이 객체 모델은 문서내의 모든 요소를 정의하고, 각각의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HTML 문서 ● document 웹 페이지 그 자체를 의미합니다. 웹페이지에 존재하는 HTML 요소에 접근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document 객체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메소드 getElementsByTagName() 해당 태그 이름의 요소를 모두 선택합니다. getElementById() 해당 아이디의 요소를 선택합니다. (id는 중복xx) getElementsByClassName( 해당 클래스에 속한 요소를 모두 선택합니다. getElementsByName() 해당 name 속성값을..